자료실 게시물 내용
국내 외국인주민 2006년 이후 첫 2년 연속 감소..1년새 2만명↓
- 작성자
- 관리자
- 조회수
- 825
- 등록일
- 2022-11-08
머니투데이
이창명 기자
213만명으로 집계…외국인근로자 수 13.2% 감소한 반면 유학생 동포수는 늘어
국내 외국인주민 2006년 이후 첫 2년 연속 감소..1년새 2만명↓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수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감소했다. 특히 외국인근로자 수가 1년새 6만여명이 줄어 일손부족 우려가 나온다.
31일 행정안전부 "2021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수는 213만4569명으로, 전년 대비 약 1%(2만1848명) 감소했다. 외국인주민이 2년 연속 감소한 것은 2006년 관련 현황 발표를 시작한 처음이다.
유형별 비중을 보면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주민 164만9967명(77.3%) △한국국적을 취득한 주민 21만880명(9.9%) △외국인주민 자녀(출생) 27만3722명(12.8%) 등이다. 지난해 대비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주민은 2.7%(4만5676명) 감소한 반면 한국국적을 취득한 주민은 5.9%(1만1752명) 증가했다. 외국인주민 자녀는 4.6%(1만2076명) 늘어났다.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주민의 증감 내역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외국인근로자는 2020년에 이어 13.2%(6만112명) 감소해 전체 외국인주민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유학생은 9.8%(1만4038명) 증가해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수준(16만명)을 회복했고, 외국국적동포도 6.8%(2만3471명) 늘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시·도별 외국인주민 수는 경기 71만4497명(33.5%), 서울 42만6743명(20.0%), 인천 13만4714명(6.3%) 등으로 수도권에 집중됐다. 이밖에 충남 12만4492명(5.8%), 경남 12만3074명(5.8%) 순으로 외국인주민이 많이 거주했다.
시·군·구별로는 안산(9만4941명), 수원(6만5885명), 시흥(6만4570명), 화성(6만2542명), 부천(5만3080명) 순으로 집계됐다. 외국인주민 수가 많은 상위 5개 지역이 모두 경기도에 있다. 외국인주민 1만명 이상이나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주민 집중거주지역"은 총 86곳이며, 경기 23개, 서울 17개, 경남 8개, 충남·경북이 각 7개 지역 등이다.
최훈 행안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지난해에 이어 외국인근로자가 큰 폭으로 감소해 지역에서 근로 인력 부족 현상에 대한 우려가 있다"며 "지방자치단체 및 관계부처와 함께 외국인주민의 안정적인 지역사회 유입과 통합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