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뮤니티이주민도 우리들의 '좋은 이웃'입니다.

자료실 게시물 내용

다양성 사회의 경기도, 국가발전 동력으로 활용해야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1266
등록일
2021-06-22
경기도는 전국 제1위의 인구를 가진 최대 광역지자체이면서 동시에 외국인주민 역시 전국 제1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도내 거주 외국인 수는 59만3천300여명으로, 이는 국내 전체 외국인 168만400여명의 35.5%에 달한다.

경기도의 외국인 수는 서울의 2.9%보다도 훨씬 높은 수치다. 특히 전체 인구 대비 외국인주민 비율이 10% 이상인 시는 2곳으로 안산 13.2%, 시흥 11.4%이며, 비율이 5% 이상인 지역도 무려 수원ㆍ화성ㆍ오산ㆍ평택ㆍ안성ㆍ김포ㆍ부천ㆍ포천 등 8곳이 된다. 외국인을 국적별로 보면 한국계 중국인이 29만6천600여명으로 도내 전체의 49.9%에 달한다. 이어 중국인, 베트남인, 우즈베키스탄인 등 순으로 돼 있다.

외국인들이 밀집해 살고 있는 수원역 부근 등에 가면 이곳이 중국인지 구분이 안 될 정도로 상점 간판이 중국어로 표기돼 있으며, 또한 일부 상점은 외국인만을 대상으로 영업을 하는 곳도 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외국인 입국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사태가 다소 안정되면 외국인 입국자는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한국은 이미 전통적인 개념의 단일민족의 사회가 아니다. 미국과 같이 이민으로 구성된 다민족 사회는 아니지만 다양한 외국인이 혼합해 살고 있는 다양성 사회가 됐으며, 이는 더욱 확대될 것이다. 세계화 추세와 더불어 부족한 노동인력의 충원 필요성 등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저개발도상국가로부터 저임금 노동인구의 유입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한국사회는 전통적 생활관습과 인식에 의해 외국인과의 자연스러운 융화가 쉽지 않다. 외국인 거주자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이들을 융화시킬 수 있는 정책 수립에 다소 등한시했다. 때문에 외국인이 많은 거주하는 지역에서 원주민과의 갈등이 점차 심화돼 사회적 문제가 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경기도가 ‘외국인주민 정책 기본계획’을 수립, 다양성을 인정받는 경기도 구현에 나선 것은 바람직한 정책 추진이다. 현재 많은 외국인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인권, 문화, 경제, 교육 등에서 차별을 받고 있으나, 지자체로부터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생활하는 사례가 많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경기도를 비롯한 각 지자체는 이들의 생활실태를 구체적으로 조사, 분석해 가칭 <외국인 생활 백서>등을 발간, 이들이 성공적인 정착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된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결코 갈등과 차별의 대상이 아니고 한국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는 귀중한 인적 자원이다. 다양성 사회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학교 교육은 물론 각 지자체가 각종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이를 확대시키는 정책을 추진, 한국사회의 발전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출처 : 경기일보(http://www.kyeonggi.com)

하단 푸터 영역

Quick menu

Quick menu